동서대학교 주메뉴
전체메뉴
조회 342
김기섭 2025-08-29 09:22
동서-동아 글로컬연합대학,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일본 규슈대와
바이오헬스 분야 공동연구성과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왼쪽부터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강은주 교수,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방사선학과 김예지 박사과정, 윤용수 교수,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양원석 팀장)
동서대학교(총장 장제국) 일반대학원 융합방사선학과 박사과정 김예지 학생(지도교수 윤용수 교수)이 영국에 본부를 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법과학 전문 기관인 The Chartered Society of Forensic Sciences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Science & Justice (IF 2.0, JCR Q2 in MEDICINE, LEGAL(7/22, 상위 29.5% 저널))에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 제목은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for Detecting Implants in Computed Tomography Scout Images with Multi-institution and Multi-vendor for Personal Identification”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생전, 사후 전산화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scout 영상에서 의료용 삽입물을 자동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한 연구다.
(Kim Y., Usumoto Y., Heo JH., Eto N., Sadamatsu Y., Yang W., Kang EJ, Morishita J., Kwon J., Jang SJ, Lee S., and Yoon Y.*,(2025)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for Detecting Implanted Metals in Computed Tomography Scout Images with Multi-institution and Multi-vendor for Disaster Victim Identification, Science & Justice, 101315)
https://doi.org/10.1016/j.scijus.2025.101315
이번 성과는 글로컬 연합대학인 동서대학교와 동아대학교의 공동 연구 결과로, 동서대 방사선학과 윤용수 교수의 주도로,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강은주 교수, 양원석 팀장),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그리고 일본 국립 규슈대학교 의학연구원 법의병리학교실이 연구진에 함께 참여한 다기관 CT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국제 공동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왼쪽부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융합방사선학과 김예지 박사과정, 윤용수 교수,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과학수사연구소 허진행 법의조사관(동서대학교 융합방사선학과 석박통합과정수료))
이번 연구는 의료영상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 속에서도, 생전 영상과 사후 영상을 아우르는 독창적인 데이터셋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특히 사후 CT 영상은 법의학적 특수성으로 인해 임상 영상에 비해 확보가 매우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성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의료용 삽입물은 개인의 과거 의료 기록과 대조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주요 단서가 될 수 있다. 연구팀은 이를 방사선영상 분석에 접목시켜, 부검 전 단계에서 체내 의료용 삽입물의 유무와 종류, 그리고 삽입 위치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법의학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신원 확인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특히 대규모 재난 등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실질적인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설명: 생전, 사후 CT영상으로부터 신원확인을 위한 금속물(인공관절, 페이스메이커 등)을 자동 검출, 분류해주는 인공지능 모델)
(사진설명: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모델의 금속검출 및 분류 정확도 95% 이상 달성)
현재 윤용수 교수 연구팀은 동아대학교병원과의 임상연구 협력뿐 아니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산과학수사연구소, 일본 규슈대학교 의학연구원 법의병리학교실, 일본 도호쿠대학교 법의영상연구팀과도 공동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이번 성과를 계기로, 한국연구재단(NRF) 및 일본과학기술연구비조성사업(KAKEN) 국제공동연구 지원 등 인공지능과 법의영상 분석을 접목한 후속 연구를 꾸준히 추진하며 부산시 9대 전략 산업 중 하나인 바이오헬스산업 중 방사선의과학 분야를 리드하는 국제 연구 중심 센터 구축을 위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