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대학교 주메뉴
전체메뉴

조회 133
김기섭 2025-11-11 14:39
동서대 졸업생 김민규 방사선사,
SCI(E)급 저널 1저자 논문 게재
동서대 윤용수 교수팀-동아대병원 영상의학과 공동 연구 성과

사진. 왼쪽부터 동서대 윤용수 교수, 김민규(제 1저자, 2022년 졸업생), 김호진(공저자, 2024년 졸업생), 동아대병원 영상의학실 양원석 팀장
동서대학교(총장 장제국) 방사선학과 졸업생이자 동아대학교병원 영상의학실에서 근무 중인 김민규 방사선사(2022년 졸업)가, 본교 윤용수 교수(교신저자) 및 동아대병원 연구진(영상의학과 강은주 교수, 영상의학실 양원석 팀장)과 함께 수행한 연구를 국제학술지 Diagnostics에 1저자(First Author)로 게재했다. Diagnostics는 SCI(E)급 저널이며, JCR 기준 Impact Factor 3.0, Medicine, General and Internal 분야 Q1(상위 17.169%) 학술지이다.
해당 논문 “Adverse Reactions to CT Contrast Agents: A 10-Year Study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는 2014~2023년까지 동아대병원 CT 조영제 투여 외래 환자 221,962건을 분석해 이상반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환경 요인을 규명한 대규모 연구이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일평균습도와 조영제 부작용 발생과의 상관관계(왼쪽) 및 조영제 부작용 증상 별 연간 분포(오른쪽)
논문 링크: https://www.mdpi.com/2075-4418/15/22/2820
동아대병원 기사: https://www.damc.or.kr/05/04_2017.php?idx=28051&p=1&bbscode=academic&kind=view
○ 조영제 이상반응 비율 약 0.64%로 확인됨
○ 여성, 젊은 연령층, 알레르기 병력 등에서 이상반응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음
○ 계절적 및 환경적 요인(여름·가을, 고온·다습)도 이상반응 발생과 연관성을 보임
○ 조영제 종류마다 이상반응 발생률 차이가 존재함
이번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확보한 약 22만 건 이상의 실제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요인 뿐 아니라 환자가 처한 환경요인까지 통합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임상적 의의가 크며, 조영제를 사용하는 현실 임상 환경에서 위험 평가 및 예방 전략 마련에 실질적인 기여가 기대된다.
김민규 방사선사는 본교 학부에서 배운 이론을 바탕으로 병원 현장에서 직접 근무하면서 얻은 현실 감각을 연구에 접목하여 이번 논문의 1저자로서 논문 집필을 주도하였고, 이와 같은 연계 연구의 성공은 본교가 추진해온 교육혁신 프로그램인 BDAD사업(“Before Dongseo ! After Dongseo”) 정신을 구현한 사례로서 더욱 의미가 있다.
윤용수 교수는 “졸업생이 임상과 연구를 연결하며 SCI(E)급 Q1 저널에서 성과를 낸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동서대는 앞으로도 실무-연구 융합 기반의 교육·연구 생태계를 더욱 강화할 것이며, 동서-동아 글로컬 연합대학의 휴먼케어(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과도 우리 동서대 방사선학과 졸업생들이 주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